반응형

주어진 문제는 위와 같다. 최대 100 개의 도시가 주어지고, 도시 간 이동이 가능한 버스 노선들이 주어졌을 때 모든 도시 간 이동 시의 최소 비용을 구하는 것이다. 최단 경로 탐색을 위한 알고리즘은 다익스트라, 벨만 포드, A* 탐색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위와 같이 모든 노드 간 최단 경로를 구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문제의 이름과 같은 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이 있다.

 

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에 대해 내가 기억하고 있는 것은, 노드 간 경로 가중치를 테이블에 저장하고 경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INF 값으로 저장한다. 그 뒤 스텝 별로 중간에 다른 노드를 경유하며 경로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으로 기억하고 있었다. 하지만 내가 기억하고 있는 알고리즘의 로직은 너무 모호해 문제 풀이에 적용할 수 없었고 따로 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을 찾아본 뒤 문제를 해결했다.

 

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

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을 간단하게 설명하면, O(|V|^3) 의 시간 복잡도를 갖는 모든 쌍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이다. 매 스텝 별로 X to Y (X, Y 는 노드) 경로의 가중치를 업데이트 해야 하므로 O(|V| ^ 2) 를 매 스텝 별로 실행하고, 각 스텝은 경유할 노드를 순차적으로 적용하므로 O(|V| ^ 2 * |V|) 의 시간 복잡도를 갖게 된다.

 

위의 그림을 통해, 알고리즘의 동작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. i, j 는 각각 노드 번호를 뜻하고 k 는 경유할 노드의 번호를 의미한다.

k = 0 일 때, 해당 테이블은 노드를 경유하지 않고 i - j 간 경로를 표현한 것이다.

k = 1 일 때, 변경된 table[2][3] 값은, 기존의 node(2) -> node(3) 의 경로 가중치는 3이고, 노드 1번을 경유한 node(2) -> node(1) -> node(3) 의 가중치 합이 4 + (-2) 이므로 새로운 값이 업데이트된 것을 볼 수 있다.

k = 2 일 때, node(4) -> node(1) 의 경로와 node(4) -> node(3) 의 경로가 2번 노드를 경유함으로 인해 가중치 값이 업데이트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
이와 같이 경유할 노드를 변경해 가며 경로 가중치 값을 업데이트해 나가면 최종적으로 모든 노드 쌍 간의 최단 경로를 구할 수 있게 된다.

 

알고리즘을 적용한 코드는 3개의 for 문을 중첩함으로써 간단하게 구현이 가능하고, 이를 적용해 문제 해결에 사용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.

 
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
const int CITY = 100;
const int INF = 123456789;

int city, bus;
int dist[CITY + 1][CITY + 1];

void initialize() {
    for (int i = 1; i <= city; i++) {
        for (int j = 1; j <= city; j++) {
            dist[i][j] = INF;
        }
    }
}

void input() {
    cin >> city >> bus;
    initialize();

    for (int i = 0; i < bus; i++) {
        int a, b, c;
        cin >> a >> b >> c;
        dist[a][b] = dist[a][b] < c ? dist[a][b] : c;
    }
}

void output() {
    for (int i = 1; i <= city; i++) {
        for (int j = 1; j <= city; j++) {
            if (dist[i][j] == INF) {
                cout << "0 ";
    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cout << dist[i][j] << " "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cout << "\n";
    }
}

void solve() {
    for (int k = 1; k <= city; k++) {
        for (int i = 1; i <= city; i++) {
            for (int j = 1; j <= city; j++) {
                if (i == j)
                    continue;
                int k_dist = dist[i][k] + dist[k][j];
                dist[i][j] = dist[i][j] < k_dist ? dist[i][j] : k_dist;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
}

int main() {
    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    cin.tie(NULL);

    input();

    solve();

    output();
}

 

# Reference.

 

플로이드-워셜 알고리즘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
컴퓨터 과학에서, 플로이드-워셜 알고리즘(Floyd-Warshall Algorithm)은 변의 가중치가 음이거나 양인 (음수 사이클은 없는) 가중 그래프에서 최단 경로들을 찾는 알고리즘이다.[1][2] 알고리즘을 한 번

ko.wikipedia.org

'Algorithm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BOJ # 1874] 스택 수열  (0) 2021.09.21
[BOJ # 1600] 말이 되고픈 원숭이  (0) 2021.09.19
<BOJ 2508> 나무 자르기  (0) 2019.02.14
반응형

주어진 문제는 위와 같다. 두 개의 문자열 's1', 's2' 가 주어졌을 때, s1 을 scramble 해서 s2 으로 만들 수 있는 지를 확인하는 문제이다. 문자열을 scramble 한다는 것은 위에서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.

  1. 문자열의 길이가 1이라면 멈춘다.
  2. 문자열의 길이가 1보다 큰다면, 다음을 따른다.
    • 문자열의 임의 인덱스를 정해서 해당 인덱스를 기준으로 두 개의 문자열로 나눈다. (두 개의 문자열은 빈 문자열이 될 수 없다.)
    • 나눠진 두 개의 문자열을 임의 순서로 배치한다.
    • 나눠진 문자열에 대해 1. 부터 다시 수행한다.

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, 재귀함수를 사용할 수 있었다. 두 문자열을 임의의 인덱스 (모든 인덱스에 대해) 기준으로 각각 두 개의 문자열로 쪼갠다. 그리고 쪼개진 문자열의 순서를 바꿔가며 비교한다.

 

예를 들어, s1 이 "ab", s2 가 "ba" 라고 주어졌다면 각각의 문자열을 두 개로 나눈다. (문자열의 순서를 바꾸며 비교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길이가 2인 문자열로 예시를 만들었다.) s1 을 두 개의 문자열로 나누면 "a", "b" 가 되고, s2 를 두 개의 문자열로 나누면 "b", "a" 가 된다. 순서를 유지한 채로 비교를 하면 "a" == "b" / "b" == "a" 가 되고, 순서를 바꾸면 "b" == "b" / "a" == "a" 가 된다. 순서를 바꿔 비교했을 때 두 문자열이 같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s1 과 s2 는 문제의 조건을 만족한다.

 

이와 같이, 각각의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문자열을 나눠서 다시 그것을 판정하는 방식으로 재귀함수를 작성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. 이를 적용한 소스 코드는 다음과 같다.

 

class Solution {
public:
    bool isScramble(string s1, string s2) {
        if(s1==s2)
            return true;
            
        int len = s1.length();
        int count[26] = {0};
        for(int i=0; i<len; i++)
        {
            count[s1[i]-'a']++;
            count[s2[i]-'a']--;
        }
        
        for(int i=0; i<26; i++)
        {
            if(count[i]!=0)
                return false;
        }
        
        for(int i=1; i<=len-1; i++)
        {
            if( isScramble(s1.substr(0,i), s2.substr(0,i)) && isScramble(s1.substr(i), s2.substr(i)))
                return true;
            if( isScramble(s1.substr(0,i), s2.substr(len-i)) && isScramble(s1.substr(i), s2.substr(0,len-i)))
                return true;
        }
        return false;
    }
};

이와 같이 작성한 소스코드는 문제를 정확히 풀이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지만, 제출 시 TLE 가 발생했다. 재귀함수의 형태를 취했는데 알파벳의 개수를 비교한 것 외에 가지치기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점이 문제로 생각됐다. 추가적인 가지치기가 가능한 방법은, 이미 지나갔던 경로를 재탐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 생각했다.

 

예를 들어, isScramble("abcde", "caebd") 은 false 를 반환한다. 만약 주어진 문제에서 부분문자열을 나누다가 이와 같은 형태를 마주쳤을 때 굳이 이 문자열을 나눠가며 판정하지 않고 바로 false 를 반환할 수 있다면 문제의 해결에 시간이 단축될 것이다. 하지만 이러한 값을 일일히 넣어줄 수 없으니 주어진 문자열을 가지고 로직을 수행하다 마주치는 경우에 대해 가지치기를 할 필요가 있어 보였다.

 

이를 위해 해시맵을 추가적으로 적용했으며, s1 의 문자열과 s2 의 문자열을 붙여 해시맵의 키로 활용했다. 이를 적용한 소스 코드는 다음과 같다.

 

class Solution {
public:
    map<string, bool> hash;

    bool isScramble(string s1, string s2) {
        if (s1 == s2) {
            return true;
        }
        if (hash.find(s1 + s2) != hash.end()) {
            return hash[s1 + s2];
        }

        int len = s1.length();
        int cnt[26] = {0,};
        for (int i = 0; i < len; i++) {
            cnt[s1[i] - 'a']++;
            cnt[s2[i] - 'a']--;
        }

        for (int i = 0; i < 26; i++) {
            if (cnt[i] != 0) {
                hash[s1 + s2] = false;
                return false;
            }
        }

        bool res = false;
        for (int i = 1; i < len; i++) {
            res = res || isScramble(s1.substr(0, i), s2.substr(0, i)) && isScramble(s1.substr(i), s2.substr(i));
            res = res || isScramble(s1.substr(0, i), s2.substr(len - i)) && isScramble(s1.substr(i), s2.substr(0, len - i));
        }
        hash[s1 + s2] = res;
        return res;
    }
};

위의 코드에서 볼 수 있듯이, 기존의 코드에서 변경된 부분은 해시맵이 적용된 부분이다. 가지치기를 위해 함수 호출 시 해시맵에서 이미 존재하는 경우인 지를 확인하고 이미 해시맵에 저장이 된 경우 저장된 값을 반환한다. 또한 현재 문자열 s1, s2 를 가지고 판정한 결과값을 해시맵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가지치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.

 

해시맵을 적용해 일종의 DP 방식을 활용한 결과 TLE 를 피하고 문제를 풀이할 수 있었다.

반응형

주어진 문제는 위와 같다. 정수형 배열이 주어졌을 때, 배열의 부분 배열 중 Arithmetic Subsequence 를 만족하는 부분 배열의 개수를 찾는 것.

 

Arithmetic Subsequence 란, 배열 내 인접한 원소들이 모두 동일한 차이값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데 원소가 3개 이상일 때만 이 조건을 만족한다. 예를 들어 [1, 2, 3, 4, 5] 는 인접한 원소의 차가 1 로 모두 동일하므로 조건을 만족하지만 [1, 2, 2, 3, 4] 는 인접한 원소의 차가 동일하지 않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.

 

문제의 해결을 위해 DP 알고리즘을 적용했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. 배열의 각 인덱스를 탐색하며 현 위치를 기준으로 이전 위치까지 일정한 차를 갖는 Arithmetic Subsequence 가 존재했는 지 확인한 뒤 존재한다면 그 값을 현재 위치에 저장한다. 그리고 만약 이전 위치에 저장된 값이 있는 경우 그 값을 저장한 뒤 추후 반환한다.

 

예를 들어 설명하자면, [1, 1, 2, 3, 4, 5] 라는 배열이 존재할 때 찾고자 하는 Arithmetic Subsequence 는 [1, 2, 3] (2개), [1, 2, 3, 4] (2개), [1, 2, 3, 4, 5] (2개), [2, 3, 4, 5], [3, 4, 5], [1, 3, 5] (2개) 로 모두 11 개가 존재한다.

 

index 0 1 2 3 4 5
value 1 1 2 3 4 5

위와 같이 각 인덱스의 값이 존재하게 되는데, 현재 인덱스를 i, 이전 인덱스를 j 라고 표현한다.

 

1) i = 1, j = 0
현재 인덱스보다 이전 인덱스가 항상 존재해야 로직이 동작하므로 i = 0 일 경우는 스킵한다. value[i] 와 value[j] 는 모두 1로 동일하므로 값의 차이가 0이다. 따라서 i 위치에서 0의 차이를 갖는 Subsequence 가 한 개 존재함을 저장한다. 두 개의 원소만 가지고 판단한 것이므로 i 위치에 저장된 값은 정답에 반영하지 않는다.

 

2) i = 2, j = 0

value[i] 는 2, value[j] 는 1이므로 원소의 차가 1이다. 따라서 i 위치에서 1의 차를 갖는 Subsequence 가 한 개 존재함을 저장한다.

 

3) i = 2, j = 1

2) 와 마찬가지로 i 위치에 Subsequence 가 한 개 존재함을 저장한다. 2), 3) 의 정보는 각각 개별 정보이므로 i 위치에 1의 차를 갖는 Subsequence 는 두 개 존재하는 것으로 저장된다.

 

4) i = 3, j = 2

j 가 0, 1 일 때는 생략을 했는데 i 가 3일 때 해당 정보는 정답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이다. value[i] 와 value[j] 의 차는 1이고, j 위치에 저장된 subsequence 의 개수는 2개이다. 즉, i 에서 차가 1인 subsequence 의 개수는 2개가 발생한다. i 가 3이 되었을 때, subsequence 의 길이가 비로소 3 이상이 되므로 이를 정답에 반영한다.


이와 같이 현재 위치를 탐색하며 이전 위치들에서 발생한 subsequence 의 개수를 더해 나간다. 현재 위치에서 발생한 개수는 정답에 반영하지 않고 이전 위치에 값이 존재할 경우에만 정답에 반영하는데, 위에 간략히 언급한 것처럼 원소 두 개를 기준으로 탐색하고 있고, 현재 위치에서 발생한 subsequence 는 원소 두 개만을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기 때문이다.

 

현재 위치에서 저장하고 다음 위치에서 현재 위치를 확인했을 때 subsequence 가 존재한다면 원소를 3개 이상 조회한 결과이므로 비로소 정답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.

 

위와 같은 풀이로 작성한 소스 코드는 다음과 같다. 

 

class Solution {
public:
    int numberOfArithmeticSlices(vector<int> &nums) {
        if (nums.size() < 3) {
            return 0;
        }
        int ans = 0;
        vector<map<int, int>> dp(nums.size()); // [index, [diff, count]]

        for (int i = 1; i < nums.size(); i++) {
            for (int j = 0; j < i; j++) {
                long delta = (long) nums[i] - nums[j];
                if (delta >= INT_MAX || delta <= INT_MIN) {
                    continue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int diff = nums[i] - nums[j];
                dp[i][diff] = dp[i][diff] + 1;
                if (dp[j].find(diff) != dp[j].end()) {
                    dp[i][diff] += dp[j][diff];
                    ans += dp[j][diff]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return ans;
    }
};

위의 설명과 코드를 연결해 설명하자면, dp 라고 선언한 map 의 배열이 위에서 subsequence 의 개수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. 배열을 인덱스 개수만큼 생성을 해서 각 인덱스마다 따로 subsequence 를 저장하도록 했고, subsequence 는 단순하게 [공통의 차가 얼마인지, 해당 위치에 저장된 subsequence 의 개수가 몇 개인지] 를 표현하도록 했다.

+ Recent posts